강북구문화

  • HOME
  • 강북구문화
  • 강북구 역사

강북구 역사

글자크기

강북구 역사

강북구 지역에 우리 조상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선사시대로 추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역사의 무대로 등장한 것은 백제가 고대국가체제를 갖추기 시작한 고이왕 때로 추정된다. 이지역은 계속 백제에 속하였다가 고구려 장수왕이 위례성을 함락시키면서 매성군을 설치하였다.

그 후 백제 성왕 때에 백제의 부흥과 함께 백제에 귀속되었다가 신라의 진흥왕때 신라의 통치에 들어갔으며 경덕왕 16년(757년)에 내소군을 설치하였다. 고려 태종 때에는 견주라 개칭하였으며 현종 9년(1081년)에는 견주를 양주에 편입하였다.

조선 태조 3년(1394년) 한양부를 한성부로 개칭하면서 고려시대 양주고을만을 한성부에 포함시키고 현 강북구지역을 포함한 기타 양주 관할이었던 지역은 그대로 양주에 속하였다.

1910년 일제의 강제점령에 따라 이듬해 한성부가 경성부로 개칭되고 경기도의 관할이 되면서 현 강북구 지역인 미아동, 번동, 수유동 , 우이동 지역이 고양군 숭인면으로 개편되었고, 1949. 8. 13 서울의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성북구에 편입되어 영훈학교 부근에 숭인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 7. 1 성북구에서 도봉구가 분구 되었고 1988. 1. 1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구되었으며, 1995. 3. 1 도봉구에서 강북구가 분구되어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강북구 역사
시기 내용
조선시대 경기도 양주고을
1914. 4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기도 고양군 인창면의 일부 지역이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에 편입(미아, 번, 수유, 우이동 지역)
1949. 8. 13 대통령령 제159호에 의하여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미아, 번, 수유, 우이동 지역) 숭인 출장소 설치
1973. 7. 1 대통령령 제6548호에 의하여 성북구에서 도봉구가 분구(22개 행정동)
1975. 10. 1~1985. 9. 1 시조례에 의거 성북구와 경계 조정 및 인구 과밀동 분동(22개동 → 36개 동)
1988. 1. 1 대통령령 제12367호로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구(도봉구-21개 동, 노원구-16개동)
1988. 5. 1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자치구로 승격
1989. 1. 1 대통령령 제12557호로 노원구 일부 지역이 도봉구에 편입(노원구 5개동 → 도봉구)
1989. 6. 1~1994. 9. 1 인구증가로 인한 분동(26개동 → 33개 동)
1994. 12. 26 대통령령 제14434호('94.12.22)로 구간 경계구역 조정(번3동 일부 지역 → 성북구, 창3동 일부 지역 → 노원구)
1995. 3. 1 법률 제4802호(94.12.22)로 도봉구에서 강북구가 분구(강북구-18개 행정동, 도봉구-15개 행정동)
1998. 9. 28 강북구동사무소설치조례(제298호)에 따라 미아6동과 미아7동을 통합, 미아6*7동이 되어 17개의 행정동으로 변경
2008. 6. 30 미아1동과 미아2동을 통합하여 삼양동, 미아3동을 미아동, 미아4동과 미아9동을 통합하여 송중동, 미아5동과 미아8동을 통합하여 송천동으로, 미아6,7동을 삼각산동으로 수유4동을 우이동으로 수유5,6동을 통합하여 인수동으로 변경
현재 강북구는 13개의 행정동(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1~3동, 수유1~3동, 우이동, 인수동)을 두고 있음
2008. 6. 30 동사무소 통폐합 및 부서별 기구개편
*구청 5국 1담당관 24과 4단 17팀 → 5국 2담당관 26과 1단 121팀
*보건소 1소 4과 11팀 → 1소 4과 10팀
*동사무소 17동 34팀 → 13동 26팀
*구의회사무국 1사무국 2전문위원 3팀 → 변경없음

지리적 특성

강북구는 서울특별시 동북단에 위치하며, 구 전체면적은 23.61㎢로 그중 공원녹지 지역이 12.922㎢로 구 전체면적의 54.8%를 차지하고 있다. 구의 동쪽은 노원구·도봉구,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남쪽은 성북구, 북쪽은 경기도 양주시· 도봉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서울의 외곽지역이다.


지형/지세

지형적으로는 서부산지, 중앙저지, 동부산지로 구분된다. 서부의 산지는 태백산맥 철령부근에서 갈라져 서남쪽으로 달리는 광주산맥 지맥의 일부로 이 광주산맥은 서울부근에 이르러 웅장한 산세를 이루게 된다.
서울의 진산(鎭山)인 삼각산은 서울시 강북구, 도봉구, 성북구, 은평구와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경계에 걸쳐있는 높이 836.5m의산으로 일명 삼각산 또는 화산(華山)이라고도 불린다.
지질은 중생대 말에 관입(貫入)한 화강암이 지반의 상승과 침식작용으로 지표에 노출된 후 절리(節理)와 표면의 풍화작용으로 지금의 모습과 같이 산세가 험준하고 경사가 심한 암벽 봉우리를 형성하게 되었다.
삼각산은 수도서울에 위치한 1,100만 서울시민의 안락한 휴식처임은 물론 전국 각지에서 사시사철 수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관광명소로써 앞으로 세계적인 관광지로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밖에도 번동 오동근린공원 등 관내에 녹지가 많아 도심이 환경공해에 시달리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루고 있다. 앞으로 미아동의 주택개발 등이 완료되면 서울에서 가장 아름답고 살기좋은 곳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북구 위치

서울시 지도(강북구 표시)

강북구 위치
지명 경도 위도 연장거리
동단 번동 259 동경 127。 02´54˝ 북위 37。 37´18˝ 동서간 7.7㎞
서단 우이동 산681 동경 126。 58´44˝ 북위 37。 39´12˝
남단 미아동 14-2 동경 127。 01´46˝ 북위 37。 36´22˝ 남북간 8.7㎞
북단 우이동 산29-1 동경 127。 00´12˝ 북위 37。 40´56˝
상단으로 이동